career high

  • 로그인
  • 업종 검색 아이콘

    [경제분석] 이코노미스트와 알아보는 경제지표와 경제이슈

    온라인

    [경제분석] 이코노미스트와 알아보는 경제지표와 경제이슈

    구성

    총 15회 수업

    시작

    바로 가능

    금액

    235,000원
    학생쿠폰 적용시 (10% 할인)
    211,500원
    현직 이코노미스트와 함께 경제지표를 공부하고 분석해보는 시간!
    종료까지
    • 요약

    • 목표

    • 프로젝트

    • 멘토

    • 커리큘럼

    • FAQ

    클래스 요약

    • 수업

      15

    • 수업 기간

      4

    추천대상

    • 경제지표에 대한 기본기를 확실히 다지고 싶은 분
    • 자본시장과 거시경제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하고 싶은 분
    • 금융권에 이제 막 진입했거나, 진입을 준비 중인데 매크로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 지 막막한 분

    이번 클래스의 목표

    • 01

      미국 경제지표를 주간으로 발표되는 순서로 따라가보며 알아봅니다.
    • 02

      각 경제지표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합니다.
    • 03

      경제지표간의 상관관계와 해석방법을 습득합니다.
    • 04

      현상을 판단함에 있어 경제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할 수 있습니다.
    테이퍼링, 연준, FOMC 등 최근 경제이슈와 각종 경제지표를 이코노미스트와 함께 공부합니다.

    월간으로 매주 발표하는 미국 경제지표를 따라가 보려고 합니다.

    왜 미국일까요?
    G2라는 단어가 익숙해졌지만, 여전히 자본주의적인 분석이 가능한 국가는 미국이고, 대부분의 경제 분석은 미국 경제지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미국 경제를 이해할 수 있다면, 다른 국가의 경제지표 역시 분석하고 전망할 수 있습니다.


    발표되는 각 지표의 의미와 분석 방법을 이해하고, 현재 경제 이슈를 함께 이야기해 볼 거예요.




    커리큘럼

    [1강 경제지표 분석 이유와 기본개념]

    1회차. 경제분석 이전에 생각해야 할 것

    . 금융 가격변수의 이론에 녹아있는 경기관련 변수들
    . 경제지표 분석이 아니라 경기 기대를 분석
    . 경제지표 분석에서 주의할 점
    . Citi Economic Surprise Index

    2회차. 경제성장률(GDP)
    . GDP분석을 위한 여러 경로
    . 소비측면에서의 GDP
    . 경제성장률의 월간 전망 구성요소
    . 생산/통화 측면에서의 GDP

    3회차. 경제지표 표시 방법과 이해
    . 경제지표 분석에서 YoY와 QoQ 그리고 연율
    . QoQ와 YoY를 구분하는 이유 / QoQ와 YoY 계산방법과 기저효과
    . 한국 경제성장률을 구해보자
    . 경제지표 분석에서 연초 이후 성장률의 개념
    . GDP대비 % 수치의 이해
    . 경제분석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 미국 경제지표 발표 일정 /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4회차. 참고할 사이트 


    [2강 고용지표와 제조업지수]

    1회차. 고용지표와 소비

    . 경제지표 분석에서 소비란?
    . ADP 전미고용보고서 / 고용현황보고서
    . 미국 실업률과 유로존 실업률
    . 미국 고용지표와 실업률
    . 평균임금과 소매판매액과의 관계

    2회차. ISM 제조업지수
    . ISM 제조업 보고서
    . ISM 제조업지수와 PMI 제조업지수
    . 소비변화와 산업생산의 순환 과정
    . ISM 비제조업 보고서

    3회차. 경제 이슈 분석: Tapering


    [3강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1회차. 소매판매와 소비자 서베이지수

    . 미국 소매판매
    . 달라진 소비회복 패턴
    . 글로벌 수요 변화에 따른 무역량 변화
    . 소비자신용 / 소비자신뢰지수 / 소비자심리지수
    . 소비자 서베이 지표

    2회차 (1). 산업생산과 물가지수
    . 산업생산 및 설비가동률
    . 소비변화와 산업생산의 순환 과정
    . 소비자물가지수(CPI)
    . CPI와 PCE의 차이, 물가 기저효과와 기고효과
    . 생산자물가지수(PPI)
    . 물가상승

    2회차 (2). 유로존 경제지표
    . ZEW경제예상지수 / 유로존 무역수지와 소매판매 등
    . 유로존 경제성장률 / 유로존 금융 구조적 스트레스지수 등

    3회차. 경제이슈 분석: 부채 사이클(feat. Big Debt Crisis)

    . Big Debt Crisis: 두 종류의 공황
    . 사이클의 초반기: 골디락스(Goldilocks)
    . 버블기: 자산가격 / 부채성장 / 금리 / 측정방법
    . 사이클 고점 / 공황기 / 부채클 초기 / 고점에서 공황기로의 전환 / 정상화과정 / 하이퍼인플레이션


    [4강 지역 연준 지수와 주택시장 지표]

    1회차 (1). 지역 연준 제조업지수

    . 뉴욕 연은: 엠파이어스테이츠 제조업지수
    . 시카고 ISM 구매관리자지수
    . 필라델피아 연은: 기업경기전망 보고서
    . 미국 연준 제조업지수 구역별 구분
    . 연준은행과 FOMC
    . 시카고 연은: 국가활동지수 /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 캔자스시티 연은: 제 10지구 제조업 보고서 / 리치몬드 연은: 제 5지구 제조업활동

    1회차 (2). 주택시장 지표
    . 주택착공 및 허가건수
    . 미국 건축허가 및 신규주택착공
    . 기존주택매매 및 잠정주택매매
    . 신규주택매매
    . 주택가격지표
    . NAHB HMI

    2회차 (1). 중국 경제분석
    . 중국의 경기둔화 지속
    . 지급준비율 인하 가능성?
    . ① 금융리스크 완화시점이 정책전환 시점
    . ② 물가압박 완화되는 연말 정책전환 발표 예상
    . ③ 지도부 교체전 확장재정 구간
    . 중국특색 공동부유론

    2회차 (2). 현대통화이론의 이해
    . MMT이론
    . 한국 경제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5강 그 외 경제지표와 환율 기초]

    1회차. 소득과 정부

    . 개인소득과 지출, 코로나로 인한 이전수입
    . 경기침체 이전 수준에 도달했다?
    . 정부 재정수지와 부채

    2회차. 국제 거래 보고서

    . 상품 및 서비스 국제무역 보고서
    . 미국 무역 상대국
    . 경상수지(국제거래 보고서)
    . 국제자본 유출입 동향

    3회차. 환율분석 기초
    . 환율의 결정 요인: 3M(Macro, Micro, Monetary)
    . 환율 표시 방법
    . 달러인덱스의 구성
    . 미국과 유로존 경제와 금리차이
    . 미국 정책과 달러인덱스
    . OITP 달러인덱스
    . 글로벌 무역과 달러인덱스, 위안화




    함께할 현직자 소개

    총 1명의 강사
    • 16년 경력

      최광혁

      이베스트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

      LS증권 리서치센터장

      이베스트투자증권 FICC 팀장

      한화증권 마켓 애널리스트/매크로 전략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IOWA 주립대 경제학과

      서강대학교 경제학 석사

    이전 버튼
    다음 버튼

    현직자와 함께 배우는 것

    • 1회차 온라인 수업 29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경제분석 이전에 생각해야 할 것

      • 경제지표의 후행성을 고려하는 것이 분석의 첫걸음
      • 금융 가격변수의 이론에 녹아있는 경기관련 변수들
      • 경제지표 분석이 아니라 경기 기대를 분석 / 경제지표 분석에서 주의할 점
    • 2회차 온라인 수업 27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경제성장률(GDP)의 개념

      • GDP분석을 위한 여러 경로 / 소비측면에서의 GDP
      • 경제성장률 구성요소와 기여도는 다른 개념
      • 경제성장률의 월간 전망 구성요소 / 생산 및 통화 측면에서의 GDP
    • 3회차 온라인 수업 38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경제지표 표시 방법과 이해

      • 경제지표 분석에서 YoY와 QoQ 그리고 연율
      • 경제지표 분석에서 연초 이후 성장률의 개념 / GDP대비 % 수치의 이해
      • 경제분석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 4회차 온라인 수업 21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참고할 사이트

      • FRED Economic Research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IMF Data Mapper / Investing.com / 로버트 쉴러 홈페이지 / Haver Analytics
      • 대한민국 관세청 / Visual Capitalist / Five Thirty Eight /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 5회차 온라인 수업 39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고용지표와 소비

      • 경제지표 분석에서 소비란?
      • ADP 전미고용보고서 / 고용현황보고서
      • 미국 고용지표와 실업률 / 평균임금과 소매판매액과의 관계
    • 6회차 온라인 수업 23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ISM제조업 지수

      • ISM제조업 보고서 / ISM 제조업지수와 PMI 제조업지수
      • ISM 제조업지수의 장기 시계열로는 특별한 경우는 아니다
      • 소비변화와 산업생산의 순환 과정 / ISM 비제조업 보고서
    • 7회차 온라인 수업 19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경제 이슈 분석: Tapering

      • 금융정책,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 / 테이퍼링(Tapering):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 달러인덱스, 아직은 강세 구간 / Tapering 이후 자금 유출입 변화
      • Taper Tantrum 이후 DM과 EM의 증시 및 금리 / Equity 보다 Bond가 유리한 국면
    • 8회차 온라인 수업 27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소매판매와 소비자 서베이지수

      • 소매판매 / 달라진 소비회복 패턴과 제조업 회복 가시화
      • 글로벌 수요 변화에 따른 무역량 변화
      • 소비자신용 / 소비자신뢰지수 / 소비자심리지수
    • 9회차 온라인 수업 37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산업생산과 물가지수

      • 산업생산 및 설비가동률 / 소비변화와 산업생산의 순환 과정
      • 소비자물가지수(CPI) / CPI와 PCE의 차이 / 물가 기저효과와 기고효과
      • 생산자물가지수(PPI) / 물가상승 / 유로존 경제지표
    • 10회차 온라인 수업 45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경제 이슈 분석: 부채 사이클

      • 사이클의 초반기: 완만한 부채성장과 골디락스(Goldilocks)
      • 버블기 : 자기강화적인 자산가격의 상승, 소득보다 빠른 부채성장, 금리 안정이 부채상승에 기여, 측정방법
      • 사이클 고점 / 공황기 / 부채클 초기 / 고점에서 공황기로의 전환 / 정상화과정 / 하이퍼인플레이션
    • 11회차 온라인 수업 37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지역 연준 제조업지수와 주택시장 지표

      • 뉴욕 연은: 엠파이어스테이츠 제조업지수 / 시카고 ISM 구매관리자지수 / 필라델피아 연은: 기업경기전망 보고서
      • 미국 연준 제조업 지수 구역별 구분 / 연준의 기원과 구조 / 연준은행과 FOMC
      • 주택착공 및 허가건수 / 기존주택매매 및 잠정주택매매 및 신규주택매매 / 주택가격지표
    • 12회차 온라인 수업 46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중국 경제분석 및 경제 이슈 분석: 현대통화이론(MMT)

      • 중국의 경기 둔화 지속, 정책 스탠스의 전환 타이밍? / 지급준비율 인하 가능성? 낮은 실효성
      • 인프라+부동산, 리스크 관리기조 완화 전까지 기대감 하향 필요 / 중국특색 공동부유론, 마오쩌둥의 부활이 아니다
      • 화폐의 본질에 대한 질문: MMT / 한국 경제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 13회차 온라인 수업 29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소득과 정부

      • 개인소득과 지출, 코로나로 인한 이전수입
      • 경기침체 이전 수준에 도달했다?
      • 정부 재정수지와 부채
    • 14회차 온라인 수업 14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국제 거래 보고서

      • 상품 및 서비스 국제무역 보고서 / 미국 무역 상대국
      • 경상수지(국제거래 보고서)
      • 국제자본 유출입 동향
    • 15회차 온라인 수업 42분

      수업 개요

      경제분석 기초 | 환율분석 기초

      • 환율의 결정 요인: 3M(Macro, Micro, Monetary) / 환율 표시방법
      • 달러인덱스의 구성 / 미국과 유로존 경제와 금리차이
      • 미국 정책과 달러인덱스 / OITP 달러인덱스 / 글로벌 무역과 달러인덱스, 위안화
    온라인

    [경제분석] 이코노미스트와 알아보는 경제지표와 경제이슈

    구성

    총 15회 수업

    시작

    바로 가능

    금액

    235,000원
    학생쿠폰 적용시 (10% 할인)
    211,500원
    현직 이코노미스트와 함께 경제지표를 공부하고 분석해보는 시간!

    자주 묻는 질문

    • VOD 수강시 질문은 어떻게 하나요? (포럼 활용법)

      VOD를 수강하시다가 궁금한 점이 생기면 "포럼"을 활용하세요!
      멘토님이 다음 날 확인 후, 1일 이내 답변 드립니다.

      마이페이지 > 클래스 > "포럼" > 오른쪽 하단의 "포럼작성"


    • VOD 수강 기한은 몇 일 인가요? (프로젝토링 포함)

      커리어하이의 VOD는 아래의 8가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든 강의에 포함된 VOD는 개강일로부터 180일까지 재생 가능합니다.


      1. 프로젝토링 정규반
         → 개강일 - 180일까지

      2. 프로젝토링 온라인
         → 개강일 - 180일까지

      3. 프리미엄 집중반
         → 개강일 - 180일까지

      4. 취준 챌린지
         → 개강일 - 180일까지

      5. VOD 수업
         → 결제일 - 180일까지

      7. 직무탐색
         → 결제일 - 180일까지

      8. 금융권 현직자 특강
         → 특강 기간


      (예시)
      프로젝토링 개강일 : 3월 1일
      프로젝토링 결제일 : 2월 25일
      VOD 수강 가능 기간 : 3월 1일부터 180일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