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부서 신입사원들이 가장 많이 부여받는 업무는 다큐멘테이션 영역입니다. 그중에서도 증권신고서가 가장 중요하고, 실수없이 잘 처리해내는 능력은 필수입니다.
작성능력 뿐만 아니라, 제반 프로세스와 메커니즘의 이해도 필요합니다.
이 과정을 제가 여러분과 함께할 예정입니다.
이 프로젝트 경험은 여러분에게 강력한 무기가 될 겁니다.
증권신고서란?
주식회사가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증권의 모집 또는 매출하는 경우로서, 그 모집금액의 총액이 10억원 이상인 경우에 자본시장법령 및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위임)에 증권발행 신고를 위해 작성하는 신고서류. 증권신고서는 회사가 증권을 발행하기 전에 회사의 개황, 사업내용, 재무 내용, 그리고 당해 증권의 종류, 발행액, 자금사용 목적, 기타사항 등을 기록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
기본 원칙은 발행회사가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는 것이지만, 증권발행주관사(IB)에서 증권신고서 작성의 상당부분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일종의 서비스)
커리큘럼
1차. DCM | 회사채 발행을 위한 제안서 작성 1-1. 오리엔테이션 1-2. DCM 부서의 역할과 업무 1-3. 회사채 발행 프로세스 1-4. 제안서의 목표와 구성 1-5. 제안서 작성 DCM | 증권신고서 작성 ① 1-6. 공모 개요 1-7. 자금 사용 목적
2차. DCM | 증권신고서 작성 ② 2-1. 증권신고서 -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 -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 투자위험요소 - 인수인의 의견 - 자금의 사용목적 - 그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2-2.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2-3. 회사채 증권신고서 작성 실습 - 공모개요 - 투자위험요소 - 자금의 사용목적
3차. ECM | 유상증자를 위한 제안서 작성 3-1. 오리엔테이션 3-2. ECM 부서의 역할과 업무 3-3. 유상증자 프로세스 3-4. 제안서의 목표와 구성 3-5. 제안서 작성 - 발행 개요 - 발행가액 계산 - 증자 전후 예상 지분율 변동내역 - 예상 발행 일정 - 최근 주요 유상증자 사례 - 회사 정관 검토
4차. ECM | 증권신고서 작성 4-1. 공증권신고서와 금융감독원 작성 기준 4-2. 유상증자를 위한 증권신고서 작성 -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투자위험요소 (사업위험, 회사위험, 기타위험) - 발행인에 관한 사항
프로그램 구성
①VOD - 실무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실무 노하우가 담겨있는 녹화 강의 - 정해진 기간 동안 자유롭게 학습
- 수강기간 : 180일
② 과제 (실무 프로젝트) - 실제 현업의 신입사원 및 주니어 레벨에서 수행하는 주요 업무로 구성 - VOD에서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여 멘토가 설계한 과제를 수행 - 과제를 수행하면서 궁금한 점이 생기면, 커리어하이 학습관리시스템에서 자유롭게 질의